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

[Linux]리눅스 기본 명령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들, 자주 쓰는 명령어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모든 명령어는 명령어 뒤에 --help 옵션을 주면 자세한 사용 방법이 나오니 기본적인 사용법만 기억하시고 필요에 따라서 --help를 이용해주세요. 웹에서 실제로 리눅스를 설치하지 않고도 명령어 입력이 가능한 사이트입니다. 아래의 커맨드를 직접 입력해서 연습해보세요. https://bellard.org/jslinux/ pwd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 정보 출력 localhost:~# pwd /root ls 디렉토리 목록 확인 localhost:~# ls bench.py hello.c hello.js readme.txt localhost:~# ls -l total 16 -rw-r--r-- 1 root root 114 Jul 6 2020 benc.. 2022. 11. 20.
[Github] Git 명령어 모음 깃(Git) 명령어로 알아보는 기초 Git 저장소를 사용함에 있어서 기초적인 내용은 알아야 할 것 같아 명령어를 통해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이해한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서 작성한 글입니다. git init git 저장소 초기화. 명령어를 입력하기 전까지는 일반 디렉토리였지만, 초기화를 시키면 해당 디렉토리를 로컬 깃 저장소로 등록해 준다. 해당 명령어를 입력 후에 추가적인 git 명령어 줄 수 있다. git init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git config core.autocrlf 커멘드를 입력합니다. git clone 원격저장소로 부터 프로젝트를 복제하는 것을 말한다. 저장소를 clone 하면 ‘origin’ 이라는 리모트 저장소가 자동으로 등록된다. git remote 현재 프로젝트에 등록된 리모트.. 2022. 11. 20.
자주 사용되는 어노테이션 어노테이션 이란? 어노테이션(@)은 사전적 의미로는 주석이라는 뜻이다. 자바에서 어노테이션은 코드 사이에 주석처럼 쓰이며 특별한 의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즉, 프로그램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메타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다음은 어노테이션의 용도를 나타낸 것이다. 컴파일러에게 코드 작성 문법 에러를 체크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툴이 빌드나 배치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실행시(런타임시)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어노테이션을 정의한다. 클래스에 어노테이션을 배치한다. 주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의 종류 @Component @Component 은 개발자가 직접 작성한 Class를.. 2022. 11. 12.
MVC패턴 기초 MVC 모델이란? 간단히 정리하자면 MVC란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로 각각의 역할을 나누어서 코딩을 하는 모델(패턴)입니다. MVC 각각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Model : 시스템의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 View : 화면의 표시, 입력 등의 처리. Controller : 유저의 입력에 근거하여 Model 과 View 를 제어. 출처: https://jansipke.nl/model-view-controller-mvc-with-jsp-and-jstl/ MVC 모델의 처리 과정 위 개념도를 바탕으로 이해한 MVC 모델의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Model 은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을 할 것인지를 정의 합니다. 실질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검색, 추가, 수정, 삭제 .. 2022. 11. 12.